본문 바로가기

IT일반32

Command Line - 프로세스 top - 17:07:53 up 21 min, 1 user, load average: 0.00, 0.01, 0.05 Tasks: 94 total, 1 running, 93 sleeping, 0 stopped, 0 zombie %Cpu(s): 0.0 us, 0.3 sy, 0.0 ni, 99.7 id, 0.0 wa, 0.0 hi, 0.0 si, 0.0 st KiB Mem : 1004792 total, 776260 free, 104588 used, 123944 buff/cache KiB Swap: 0 total, 0 free, 0 used. 763400 avail Mem 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%CPU %MEM TIME+ COMMAND 1121 root 20 0 163796 61.. 2022. 5. 14.
Command Line - 퍼미션 [cmd_test@btjeon-naver ~]$ id uid=1001(cmd_test) gid=1001(cmd_test) groups=1001(cmd_test) 자신의 사용자 ID 정보 확인 [cmd_test@btjeon-naver ~]$ umask 0002 [cmd_test@btjeon-naver ~]$ > foo.txt [cmd_test@btjeon-naver ~]$ ll foo.txt -rw-rw-r-- 1 cmd_test cmd_test 0 May 14 15:25 foo.txt [cmd_test@btjeon-naver ~]$ [cmd_test@btjeon-naver ~]$ rm -r foo.txt [cmd_test@btjeon-naver ~]$ umask 0000 [cmd_test@btjeon-n.. 2022. 5. 14.
Command Line - 고급 키보드 기법 [cmd_test@btjeon-naver ~]$ history | grep USER 17 echo $USER 31 echo "$USER $((2+2)) $(cal)" 33 echo text ~/*.txt {a,b} $(echo foo) $((2+2)) $USER 34 echo "text ~/*.txt {a,b} $(echo foo) $((2+2)) $USER" 35 echo 'text ~/*.txt {a,b} $(echo foo) $((2+2)) $USER' 36 echo "The balance for user $USER is: \$5.00" 46* echodd "The balance for user $USER is: \$5.00" 47 history | grep USER [cmd_test@btjeon-.. 2022. 5. 13.
Command Line - 확장과 인용 [cmd_test@btjeon-naver ~]$ echo /usr/*/share /usr/local/share cmd_test@btjeon-naver ~]$ echo [[:lower:]]* lazy_dog.txt ls-error.txt ls-output.txt ls.txt [cmd_test@btjeon-naver ~]$ echo ls* ls-error.txt ls-output.txt ls.txt echo 명령어와 와일드카드(*)를 통해 디렉토리, 파일명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. [cmd_test@btjeon-naver ~]$ echo ~ /home/cmd_test [cmd_test@btjeon-naver ~]$ echo ~root /root 홈디렉토리 확인 [cmd_test@btjeon-naver ~]$.. 2022. 5. 9.
Command Line - 리다이렉션 [cmd_test@btjeon-naver ~]$ ls -l /usr/bin >> ls-output.txt >> 연산자를 사용하면 파일에 이어 쓰기가 가능해진다. [cmd_test@btjeon-naver ~]$ ls -l /bin/usr 2> ls-error.txt 쉘은 내부적으로 표준 입출력과 표준 오류를 각각 0,1,2번 파일 디스크립터로 표현한다. 표준 오류는 파일 디스크립터 2와 같기 때문에 표준 오류를 재지정할 때 이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. [cmd_test@btjeon-naver ~]$ ls -l /bin/usr > ls-output.txt 2>&1 동시에 표준 출력과 표준 오류를 재지정하는 방법 첫번째. 2>&1의 입력으로 파일 디스크립터 2(표준 오류)가 파일 디스크립터 1(표준 출력)로.. 2022. 5. 6.
Command Line - 명령어와 친해지기 [cmd_test@btjeon-naver ~]$ type type type is a shell builtin [cmd_test@btjeon-naver ~]$ type ls ls is aliased to `ls --color=auto' [cmd_test@btjeon-naver ~]$ type cp cp is hashed (/bin/cp) type 명령어는 쉘에 내장된 형식으로 명령어 이름을 입력하면 쉘이 실행하게 될 명령어가 어떤 타입인지를 보여준다. [cmd_test@btjeon-naver ~]$ which ls alias ls='ls --color=auto' /bin/ls which 명령어로 실행할 프로그램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. [cmd_test@btjeon-naver ~]$ help cd.. 2022. 5. 5.